본문 바로가기
TIL (Today I Learned)

WIL) ERD, Transport Layer 4계층

by Won's log 2023. 8. 21.

WIL

  • 지난 일주일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배움에는 뭐가 있었지?
  • 그 배움까지 다가가는데 어떤 어려움이 있었지?
  • 그 과정에서 나는 무엇을 깨달았고, 어떤 감정/생각이 들었었지?
  • 결과적으로, 현재 나의 상태는?
  • 이 상태에서 다음 일주일을 더 잘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지난 일주일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배움에는 뭐가 있었지?
    • ERD 설계 - 코드 간 연관관계
    • Transport Layer 4계층
  • 그 배움까지 다가가는데 어떤 어려움이 있었지?
    • 팀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 앞서 ERD를 설계해야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사용해야하는 엔티티와 테이블이 많았고 그 연관관계 또한 복잡했기 때문에 이틀에 걸쳐 ERD를 수정해야했다. 초반부터 ERD가 흔들리니 팀원 간의 협업과 소통에 어려움이 있었다.
    • TCP와 UDP가 어디에 무엇을 위해 사용되는지 정확한 이해가 필요했다.
  • 그 과정에서 나는 무엇을 깨달았고, 어떤 감정/생각이 들었었지? 결과적으로, 현재 나의 상태는?
    • ERD를 반복해서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고 그 과정에서 팀원 간의 소통을 진행하면서 ERD를 정확하게 설계하기 위해서는 1. 내가 만들고자 하는 프로젝트의 정확한 용도와 의미, 사용목적과 과정을 완벽하게 이해해야 했고, 2. 그것들을 팀원 모두가 완벽하게 이해해야 했고, 3. 중간에 더 나은 아이디어가 있다면 그것을 채택하고 더 나은 프로젝트를 결정짓는 결단이 필요했다. 그리고 4. 이 프로젝트의 이해를 바탕으로 ERD가 설계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다시 말해, ERD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팀원들이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도를 높아야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렇다면 테이블과 엔티티들의 연관관계가 비교적 쉽게 설계될 수 있었다.
    • TCP와 UDP 강의를 들으면서 4계층의 사용과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 이 상태에서 다음 일주일을 더 잘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설계한 ERD를 바탕으로 내가 맡은 코드를 구현하고 그 코드를 이해하고 다른 팀원들에게도 납득이 될 만한 효율적인 코드를 구현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 4계층의 용도를 기억하며 컴퓨터 공학에 대한 이해를 얻기 위해 평소에도 궁금한 점이 생기면 TIL이나 일지를 남겨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