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
- 지난 일주일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배움에는 뭐가 있었지?
- 그 배움까지 다가가는데 어떤 어려움이 있었지?
- 그 과정에서 나는 무엇을 깨달았고, 어떤 감정/생각이 들었었지?
- 결과적으로, 현재 나의 상태는?
- 이 상태에서 다음 일주일을 더 잘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지난 일주일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배움에는 뭐가 있었지?
- 모르는 코드는 최선을 다해 찾아보자.
- 협업을 위해서는 적극성이 필요하다.
- TIL을 매일 쓰자.
- 그 배움까지 다가가는데 어떤 어려움이 있었지? 그 과정에서 나는 무엇을 깨달았고, 어떤 감정/생각이 들었었지?
- 프로필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변경된 비밀번호를 인코딩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과정이 어려웠다. 그러나 내가 할 수 있는 수준까지 여러 번의 코드 시도를 하였고 결국엔 인코딩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었다.
- 팀 프로젝트를 위해 기한을 명확히 정해야 했다. 특별히 데드라인을 빠르게 잡을수록 할 수 있는 시도가 많다는 것을 알았다.
- 추가 구현으로 프론트엔드 구도를 시도했다.
- TIL을 미루다 보니 일주일간 내가 무엇을 고민했고 어느 부분에서 성공했는지 가늠이 되지 않았다. 뚜렷한 기억보다 흐릿한 펜 지국이 낫다는 말이 괜히 있는 말이 아니다.
- 결과적으로, 현재 나의 상태는?
- 코드는 논리적이다. 이유가 없다면 버그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니 모르는 코드를 접했을 때는 최선을 다해 풀어보고 시도하자.
- 협업을 두려워 하지 말고 적극성을 가지고 도움을 요청하고 도움을 주자. 데드라인을 최대한 빠르게!
- TIL은 정말 중요하다. 미루지 말자.
- 이 상태에서 다음 일주일을 더 잘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시도한 코드는 적어서 똑같이 반복하지 말자. 시간낭비다. 새로운 시도를 발견하면 되지 않으면 왜 되지 않은지 이유를 찾고 기록하자.
- 팀에게 도움이 되도록 자바 문법과 스프링 문법을 공부하고 공부하자.
- TIL을 매일 작성하자.
'TIL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페어프로그래밍을 통한 깨달음 (0) | 2023.07.12 |
---|---|
TIL) 30분 공부 10분 쉬기 - 집중력을 높이자 (0) | 2023.07.10 |
TIL) Intellij 의문의 빨간줄! 항상 오류? 아니면 버그? (0) | 2023.07.04 |
WIL)오류를 인정하고 해결하자. 오류가 있다는 것은 얼마나 기쁜 일인가! (0) | 2023.07.02 |
TIL) 생성자, DTO, Entity, Json 데이터 반환, create, read 구현 공부완료 (0) | 2023.06.30 |